우리말은 발음은 비슷하지만 실제 표기가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희안하다”와 “희한하다”입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두 표현 모두 쓰이다 보니 헷갈리기 쉽지만, 맞춤법으로 따져보면 정답은 단 하나뿐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어떤 표현이 맞는지, 왜 혼동이 생겼는지, 비슷한 사례는 무엇이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희안하다? 비표준어!
먼저 많은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쓰는 ‘희안하다’는 사실 표준어가 아닙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되지 않은 비표준어이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잘못 사용하는 이유는 발음을 빠르게 하면 ‘희안하다’처럼 들리기도 하고, 한자어로 착각해서 ‘안(安)’이 들어가야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는 모두 오해일 뿐, 실제로는 틀린 표기입니다. 특히 공문서, 보고서, 시험지에서 사용하면 오답 처리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일상 대화에서는 상대가 뜻을 알아듣더라도, 글쓰기에서는 반드시 피해야 하는 표현입니다.
희한하다! 올바른 표준어
정확한 표현은 바로 ‘희한하다’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등록된 올바른 단어이며, 자주 쓰이는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 희한하다 [형용사]
- 매우 드물고 신기하다.
- 보통과 달리 특이하다.
예문을 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 “그 사람은 생각이 참 희한하다.”
- “오늘은 정말 희한한 일이 벌어졌어.”
이처럼 ‘희한하다’는 일상에서도 널리 쓰이는 단어로, 누군가의 행동이나 상황이 보통과 달라 신기하거나 독특할 때 표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맞춤법을 지켜야 하는 글에서는 항상 희한하다로 써야 합니다.
왜 혼동이 생길까?
많은 사람들이 ‘희안하다’와 ‘희한하다’를 헷갈리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발음상의 문제입니다. ‘희한하다’를 빠르게 발음하면 ‘희안하다’처럼 들리기 때문에 잘못 표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둘째, 한자어 착각입니다. ‘희안하다’의 ‘안(安)’이 한자어로 보이기 때문에 더 자연스럽다고 느끼는 것입니다. 셋째, 인터넷과 SNS에서 잘못 쓰인 표현이 그대로 퍼지면서 습관적으로 굳어진 경우도 많습니다. 언어는 사람들이 자주 쓰면 맞는 말처럼 보이는 힘이 있지만, 맞춤법은 엄연히 규정된 기준이 있기 때문에 표준어를 올바르게 익히는 것이 중요합니다.
비슷하게 혼동하는 다른 예시
사람들이 잘못 쓰는 맞춤법은 ‘희안하다-희한하다’ 외에도 많습니다. 대표적인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 되려 / 도리어 : ‘되려’는 비표준어이고, 올바른 표현은 ‘도리어’입니다.
- 설겆이 / 설거지 : ‘설겆이’는 틀린 표현이며, ‘설거지’가 맞습니다.
- 멋적다 / 멋쩍다 : ‘멋적다’는 잘못된 말이고, 정확한 표기는 ‘멋쩍다’입니다.
- 귀때기 / 귓대기 : ‘귀때기’는 비표준어이고, ‘귓대기’가 올바른 표기입니다.
이처럼 우리말에는 사람들이 자주 헷갈리는 단어가 많습니다. 특히 일상에서는 틀린 표현을 써도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글쓰기나 시험에서는 치명적인 실수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슷한 단어들을 함께 공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
정리하자면, ‘희안하다’는 틀린 표현이고, 올바른 표기는 ‘희한하다’입니다. 의미는 드물고 신기하거나 보통과 다른 것을 가리킵니다. 우리가 흔히 잘못 쓰는 이유는 발음의 착각, 한자 오해, 그리고 인터넷 상의 잘못된 사용 때문입니다. 하지만 맞춤법을 지키는 것은 올바른 글쓰기의 기본이자, 언어 문화를 지키는 중요한 습관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헷갈릴 때마다 “희안하다 ❌, 희한하다 ✅”를 떠올리면 쉽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희안하다 희한하다 FAQ
Q. ‘희안하다’는 틀린 표현인가요?
A. 네. ‘희안하다’는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없는 비표준어입니다. 공식적으로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Q. ‘희한하다’의 정확한 뜻은 무엇인가요?
A. ‘희한하다’는 드물거나 신기하고, 특이하거나 보통과 다른 것을 뜻합니다. 예: “정말 희한한 일이네.”
Q. 일상 대화에서 ‘희안하다’를 써도 괜찮나요?
A. 일상 대화에서는 상대방이 이해할 수 있지만, 맞춤법이나 공식 문서에서는 반드시 ‘희한하다’로 써야 합니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스페이시스 에듀 무료체험 가입방법 무료코드 공유 (0) | 2025.09.25 |
---|---|
샤라웃 뜻 의미 예시 사용방법 알아보기 (0) | 2025.09.19 |
오하이오 고자이마스 일본어 인사말 모음 (0) | 2025.09.17 |
개기일식 개기월식 비교|같은 듯 다른 두 천문 현상 정리 (0) | 2025.09.16 |
아라온스쿨 후기 가격 강의 아이 공부 느낀 점들. (0) | 2025.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