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음악

독도는 우리땅 가사 변경 바뀐 가사 바뀐 부분 바뀐 이유 변천사

by 일상디텍터 2025. 10. 15.
반응형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따라 불러본 노래가 있습니다. 바로 “독도는 우리땅”입니다.

이 노래는 단순한 동요가 아닌, 대한민국의 영토 주권을 상징적으로 노래한 곡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1982년 발표 이후 지금까지 여러 세대에 걸쳐 불리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맞춰 가사가 조금씩 수정되어 왔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독도는 우리땅”의 원래 가사, 바뀐 가사, 그리고 연도별 변화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독도는 우리땅’ 노래의 탄생 배경

“독도는 우리땅”은 1982년 가수 정광태가 발표한 노래로, 작사·작곡은 박문영이 맡았습니다.

이 곡은 울릉도와 독도의 지리, 역사, 생활상을 재치 있게 풀어내며,

독도가 명백히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노래로 표현했습니다.

발표 당시 단순히 재미있는 노래로 인식되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국민적 애국가처럼 불리기 시작했습니다.

학교, 군대, 행사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이 노래가 울려 퍼지며, ‘독도 수호’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년도별 가사

[1982년 가사]

  •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 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
  • 경상북도 울릉군 남면 도동 일번지 동경 백삼십이 북위 삼십칠 평균기온 십이도 강수량은 천삼백 독도는 우리땅
  • 오징어 꼴뚜기 대구 명태 거북이 연어알 물새알 해녀 대합실 십칠만 평방미터 우물 하나 분화구 독도는 우리땅
  • 지증왕 십삼년 섬나라 우산국 세종실록지리지 오십 페지 세째 줄 하와이는 미국땅 대마도는 일본땅 독도는 우리땅
  • 노일전쟁 직후에 임자 없는 섬이라고 억지로 우기면 정말 곤란해 신라 장군 이사부 지하에서 웃는다 독도는 우리땅

 

[1983년 가사]

  •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
  • 경상북도 울릉읍 도동 산 육십삼 동경 백삼십이 북위 삼십칠 평균기온 십이도 강수량은 천삼백 독도는 우리땅
  • 오징어 꼴뚜기 대구 명태 거북이 연어알 물새알 해녀 대합실 십칠만 평방미터 우물 하나 분화구 독도는 우리땅
  • 지증왕 십삼년 섬나라 우산국 세종실록지리지 오십 페이지 셋째 줄 하와이는 미국땅 대마도는 일본땅 독도는 우리땅
  • 노일전쟁 직후에 임자 없는 섬이라고 억지로 우기면 정말 곤란해 신라 장군 이사부 지하에서 웃는다 독도는 우리땅

 

[2001년 가사]

  •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 리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동경 백삼십이 북위 삼십칠 평균기온 십이도 강수량은 천삼백 독도는 우리땅
  • 오징어 꼴뚜기 대구 명태 거북이 연어알 물새알 해녀 대합실 십칠만 평방미터 우물 하나 분화구 독도는 우리땅
  • 지증왕 십삼년 섬나라 우산국 세종실록지리지 오십 쪽에 셋째 줄 하와이는 미국땅 대마도는 몰라도 독도는 우리땅
  • 러일전쟁 직후에 임자 없는 섬이라고 억지로 우기면 정말 곤란해 신라 장군 이사부 지하에서 웃는다 독도는 우리땅

 

[2012년 가사]

  • 울릉도 동남쪽 뱃길따라 87K 외로운 섬 하나 새들의 고향 그 누가 아무리 자기네 땅이라고 우겨도 독도는 우리땅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동경 백삼십이 북위 삼십칠 평균기온 십삼도 강수량은 천팔백 독도는 우리땅
  • 오징어 꼴뚜기 대구 홍합 따개비 주민등록 최종덕 이장 김성도 십구만 평방미터 799에 805 독도는 우리땅
  • 지증왕 십삼년 섬나라 우산국 세종실록지리지 강원도 울진현 하와이는 미국땅 대마도는 조선땅 독도는 우리땅
  • 러일전쟁 직후에 임자없는 섬이라고 억지로 우기면 정말 곤란해 신라장군 이사부 지하에서 웃는다 독도는 우리땅

 

각 절은 울릉도와 독도의 위치, 기후, 면적, 주민 정보, 그리고 역사적 사실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노래 초반에는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리”라는 유명한 구절이 등장하며, 이후 “독도는 우리땅”이라는 반복 구절로 국민적 메시지를 강하게 전달합니다. 또한 당시에는 실제 독도 주민 이름이 등장해 현실감을 더했죠.

이 가사는 독도 문제를 정치적 논쟁이 아닌 ‘생활 속 이야기’로 풀어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가사가 바뀌게 된 이유

“독도는 우리땅”의 가사는 1982년 발표 이후 몇 차례 변경되었습니다.

그 이유는 단순한 수정이 아니라, 시대적 변화와 행정 체계의 변화에 따른 자연스러운 조정이었습니다.

  1. 행정구역 및 우편번호 변경

울릉군과 독도의 주소 체계가 변경되면서, 가사 속 우편번호 표현이 수정되었습니다.

  1. 단위 표기 현대화

“이백리”를 “87km”로 바꾸는 등, 국제 단위표 기준에 맞게 표현이 바뀌었습니다.

  1. 기후·면적 정보 수정

독도의 강수량과 평균기온 수치가 최신 자료에 맞춰 보정되었습니다.

  1. 개인 이름 표기 변경

실제 독도 주민이었던 인물의 이름이 바뀌거나 생략된 버전이 등장했습니다.

이처럼 가사의 변화는 정치적 이유보다는 “정확한 정보 전달”과 “현대적 감각”을 반영한 결과였습니다.


연도별 ‘독도는 우리땅’ 가사 변천사

  • 1982년 정광태가 부른 원곡 발표, “울릉도 동남쪽 뱃길 따라 이백리” 원래 가사
  • 1990년대 방송용 편집 버전 제작, 일부 가사 축약 어린이용 버전 등장
  • 2000년대 초반 학교 교육용으로 사용, ‘우편번호’ 구절 일부 수정 교과용 개사
  • 2012년 30주년 기념 버전 공개, 거리·기온 등 과학적 수치 수정 울림기획 공식 수정
  • 2020년 이후 최신 데이터 반영, 강수량·면적 조정, 인명 생략 현대식 표기 완성

특히 2012년은 “독도는 우리땅” 30주년으로, 제작사가 공식적으로 가사를 일부 변경한 해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때 “이백리”가 “87킬로미터”로 바뀌고, 기후 데이터가 현재 수치로 갱신되었습니다.

즉, 시대 변화에 맞춰 과학적 정확도를 높인 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원곡과 바뀐 가사 비교 요약

 

구분 원래 가사 수정된 가사 변경 이유
거리 표현 이백리 87km 단위 현대화
기후 표현 1년에 사백이십밀리 1년에 천삼백밀리 실제 강수량 수정
주소 표기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울릉군 독도리 행정 구역 조정
인명 표기 최종덕, 김성도 일부 생략 또는 변경 개인 정보 보호
반복 구절 독도는 우리땅 동일 유지 핵심 메시지 유지

 

이 표를 보면 노래의 중심 메시지는 그대로지만, 시대 변화에 따라 세부 정보가 현실에 맞게 수정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독도는 우리땅”이 가지는 의미

이 노래는 단순한 가요가 아닙니다. 대한민국의 영토 주권을 상징하는 문화적 상징입니다.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자연스럽게 애국심을 심어주는 교육적 역할을 해왔습니다.

또한 외국에서 한류 공연이 열릴 때마다 “독도는 우리땅”이 울려 퍼지며, 국제 사회에서도 대한민국의 영토 의식을 알리는 문화적 상징으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최근 버전과 공식 활동

2020년대 들어 정광태는 여러 방송에서 최신 버전의 “독도는 우리땅”을 부르며 새로운 세대에게 이 노래를 알리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독도 수호 캠페인과 연계한 행사에서도 현대식 리메이크 버전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음원 플랫폼(멜론, 벅스, 유튜브뮤직 등)에서도 “1982년 원곡 버전”과 “2012년 수정 버전”이 각각 등록되어 있습니다. 덕분에 세대별로 다른 가사를 비교하며 들을 수 있죠.


결론

“독도는 우리땅”은 1982년 처음 발표된 이후 40년 넘게 변함없이 불리고 있는 상징적인 곡입니다.

가사에는 시대의 변화가 담겼고, 정보의 정확성을 위해 수차례 수정이 이뤄졌습니다.

하지만 어떤 버전이든 그 핵심 메시지, 즉 “독도는 대한민국의 땅”이라는 주제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이 노래는 앞으로도 국민이 함께 부르는 평화의 노래이자, 우리 영토 의식을 지켜주는 문화유산으로 남을 것입니다.


독도는 우리땅 가사 FAQ

Q. “독도는 우리땅” 노래는 언제 만들어졌나요?

A. 1982년에 가수 정광태가 발표한 곡으로, 작사·작곡은 박문영이 맡았습니다.

Q. “독도는 우리땅” 가사가 왜 바뀌었나요?

A. 행정구역, 우편번호, 기후 정보 등이 바뀌면서 실제 데이터에 맞게 수정되었습니다.

Q. 현재 공식 가사는 어떤 버전인가요?

A. 2012년 30주년 기념으로 수정된 버전이 가장 널리 사용되며, 디지털 음원에서도 이 버전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독도는우리땅가사-썸네일